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경제, 재태크/투자에 대하여

채권의 종류와 특성

by reve_vrl 2024. 11. 15.

채권은 발행 주체와 특서에 따라 다양한 조류로 나뉘며 각 채권마다 위험성, 수익성, 안정성이 다릅니다.

 

1. 채권의 종류

 

* 국채

발행 주체 : 정부

특징 : 가장 안정적인 채권으로 정부가 발해하여 국가의 신용을 바탕으로 원금과 이자 지급이 보장됩니다.

위험 : 국가 부도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장기국채의 경우 금리 변동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수익성 : 상대적으로 낮은 이자율을 제공하며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공공기관채

발행주체 : 공공기관

특징 : 공공기관이 발행한 채권으로 공공기관의 신용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합니다.

위험 : 정부가 보증하지는 않지만 공공기관의 신용도와 재정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공공기관에서 못한다면 정부가 어느 정도 도와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익 : 국채보다 약간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지만 회사채보다는 수익률이 낮으며 회사채보다 안정성이 높습니다.

 

* 회사채

발행주체 : 민간 기업

특징 :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으로 기업의 신용 위험이 반영된 가산 금리가 적용됩니다.

위험 : 발행 기업의 신용 등급에 따라 채권의 안정성이 다르며,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채는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부도 위험이 있습니다.

수익성 :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신용 등급이 낮을 수록 이자율을 높아집니다.

 

* 외국 채권

발행 주체 : 외국 정부, 외국 공공 기관, 외국 기업

특징 : 외국에서 발행된 채권으로 국채, 공공채, 회사채의 특성과 더불어 환율 변동에 따른 환율 리스크가 있습니다. 

해당 국가의 경제 상황과 금리 정책에 따라 채권의 리스크가 달라집니다.

위험 : 투자 대상국의 경제 불안정이나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익성 : 고수익 채권의 경우 환율 리스크와 더불어 높은 금로 이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 가능성도 큽니다.

 

 

 

2. 채권 특성

 

* 표면 이자율

채권 발행 시 약정된 이자율로 보유자가 주기적으로 받을 이자 수익을 결정합니다.

표면 이자율이 3%인 채권을 액면가에 구매하면 매년 3% 이자를 지급받게 됩니다. 

이 비율은 채권이 만기까지 보유될 떄 변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일정 금액의 이자를 제공합니다.

표면 이자율이 높을 수록 투자자가 받는 이자 수익이 커지며 채권 가격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집니다.

 

* 만기 수익률

투자자가 채권을 현재 가격에 구입해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예상되는 연평균 수익률입니다.

이는 현금 흐름을 모두 포함하여 평가하는 수익률로 시장금리와 채권 가격의 변동을 반영합니다

만기 수익률은 표면 이자율과 다를 수 있으며 채권을 할인된 가격(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이나 프리미엄 가격(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입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실제 수익률을 보여줍니다.

표면 이자율이 3%인 채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면 만기 수익률은 표면 이자율인 3%보다 높아집니다.

만기 수익률은 채권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시장 금리와 반대로 움직입니다.

금리가 사승하면 기존 채권의 만기 수익률이 높아지고 금리가 하락하면 만기 수익률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집니다.

 

** 표면 이자율과 만기 수익률의 관계

채권의 액면가에 매입한 경우 표면 이자율과 만기 수익률은 동일합니다.

할인된 가격에 채권을 매입하면 만기 수익률이 표면 이자율보다 높아지고 

프리미엄 가격에 매입하면 만기 수익률이 표면 이자율보다 낮아집니다.

시장 금리가 3% 일 때 표면 이자율이 3%인 채권을 액면가에 매입하면 만기 수익률 3%로 동일합니다.

그러나 금리가 상승하여 기존 채권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 동일한 표면 이자율을 가진 채권의 만기 수익률은 더 높아집니다.

따라서 표면 이자율은 채권의 고정 이자 지급률을 의미하며 만기 수익률은 현 시점 구매 가격과 만기까지의 예상 수익을 반영한 종합적인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 듀레이션과 금리 리스크

만기가 길수록 금리 변동에 민감해지며 듀레이션이 큰 채권은 금리 변화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동합니다.

장기 채권은 금리 상승기에는 가격이 하락할 수 있는 리스크가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