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경제, 재태크/투자에 대하여

인플레이션과 경기 흐름이 채권에 미치는 영향

by reve_vrl 2024. 11. 21.

경기 상승기에는 채권 비중을 줄이고 주식 및 부동산과 같은 위험 자산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둔화기에는 채권 비중을 늘리고 위험 자산 비중을 줄여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가 안정기에는 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 차익을 기대하며 채권을 보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과 경기 흐름은 채권 금리와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투자자는 이를 고려하여 투자를 결정해야 합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 흐름이 채권에 미치는 영향
인플레이션과 경기 흐름이 채권에 미치는 영향

 

1. 인플레이션이 채권에 미치는 영향

 

* 인플레이션 상승시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물가 상승은 화폐 가치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채권 금리는 인플레이션과 함께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그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오르면 투자자들은 채권의 고정 수익률로 실질적인 이익(실질 구매력)이 감소한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채권을 매도하려는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낮아집니다.

만기 수익률이 4%인 채권에 투자했지만 물가상승률이 5%이라면 실질 수익률인 01%로 손실이 발생합니다.

(여러 변수가 있으나 단순하게 생각하면 수익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낮기 때문에 손실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채권 투자를 한다면 단기 채권이나 변동 금리 채권과 같은 채권을 보유하여 금리 상승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잊지 말 것은 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품 설명을 꼼꼼히 읽고 투자해야합니다.

 

* 인플레이션 하락시

물가가 안정되거나 하락하면 화폐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채권 그리는 하락하고 채권 가격은 상승삽니다.

이 시기에는 기존 채권의 고정된 이자율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물가 안정화가 예상되는 시기에 채권을 보유하면 금리 하락에 따른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투자를 한다면 장기 채권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이자 수익과 가격 상승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잊지 말 것은 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품 설명을 꼼꼼히 읽고 투자해야합니다.

 

* 인플레이션과 채권 금리의 연계성

명목금리는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는 금리로 금융 상품의 표면 이자율 또는 계약된 금리를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실제 구매력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실질 금리는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을 고려한 금리로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금리입니다.

명목금리가 5%이고 인플레이션이 2%이면 실질 금리는 5%-2%=3%입니다.

투자자입장에서 실질 구매력을 반영한 금리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질 금리가 낮아져 실제 수익률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명목 금리는 고정된 숫자며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경기 흐름이 채권에 미치는 영향

* 경기 상승기

경제가 성장하거나 과열 국면에 접어들면 투자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고 물가 상승 압력도 커집니다.

이에 따라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해 시장 통화량을 줄이려하고 금리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이 시기에는 채권 비중을 줄이고 주식과 부동산 같은 위험 자산 비중을 늘리는 것이 유리합니다.

채권에 투자한다면 금리 상승의 영향을 적게 받기 위하여 듀레이션이 짧은 단기 채권을 추천합니다.

금리 상승에 따라 이자율이 변동되는 변동 금리 채권을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꼭꼭 상품 설명서를 읽고 투자하세요.


* 경기 하락시

경제가 침체되면 투자 기대 수익률이 낮아지고 물가 하락 압력이 커집니다.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하해 시장 통화량을 늘리고 경제를 자극하려고 합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므로 이시기에 채권 비중을 늘리는 투자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금리 하락에 따른 차본 차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듀레이션이 긴 장기 채권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또는 경기 둔화기에는 안정적인 국채 비중을 늘리는 것도 좋습니다.

 

하락이후 올 금리 상승 시를 대비하여 단기 채권으로 전화하거나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가진 신흥 시장 채권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즉,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채권을 선택해야 하며 경기 상황, 인플레이션 등을 확인한 후에 자신만의 기준에 맞쳐서 투자해야 합니다.

투자 전에는 상품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품 설명서를 꼭꼭 읽고 투자해야 합니다.


3. 특수한 경우 스태그 플레이션

스태그 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의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률보다 물가 상승률이 채권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채권 금리는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므로 투자 전략을 신중히 조정해야 합니다.

 

스태그 플레이션의 상황에선 아래와 같은 특징이 발생합니다.

* 경제 침체로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고 실업률이 상승합니다.

*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며(인플레이션) 고정된 수익률을 제공하는 자산들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합니다.

* 중앙 은행들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지만 이는 경제를 더욱 둔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물가 상승관 연동된 채권, 단기 채권, 신용등급이 높은 회사채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현금성 자산을 확대하여 여러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여 위험을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점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채권의 고정 수익률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로 부실 위험이 높은 자산은 피하고 안정적이고 수익을 가져다 줄 자산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상황 변화에 어떤식으로 대응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