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경제, 재태크/투자에 대하여

채권 관련 세금

by reve_vrl 2024. 11. 23.

채권 관련 세금

채권 투자와 관련된 세금은 이자 소득세, 매매 차익에 대한 과세 여부, 금융소득 종합과세 등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채권 관련 세금
채권 관련 세금

1. 이자 소득세

채권 보유 중에 지급 받는 이자에 대해 15.4%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소득세 14% + 지방 소득세 1.4%)

원천 징수 방식으로 이자 지급시 자동으로 세금이 공제됩니다.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하면 발생한 이자에 대해 이자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이자 소득세는 금융 소득 종합과세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 매매차익

채권을 만기 전에 매도 했을 때 발생하는 차익으로 일반적으로 채권의 매매 차익은 비과세입니다.

채권 ETF 또는 채권형 펀드는 매매 차익에 대해 과세 될 수 있습니다.

해외 채권의 경우 국가별 세법에 따라 차익에 과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금융소득종합과세

연간 금융소득(이자+배당)이 2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종합소득세율(6%-45%)가 적용되며 기존의 원천징수 세율보다 높은 세율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되지 않으려면 금융소득을 2000만원 이하류 유지하거나 ISA계좌와 같은 절세 상품을 활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4. 절세 혜택과 고려 사항

* 저쿠폰 채권

낮은 표면 이자율로 발행된 채권으로 매매 차익이 클 수 잇습니다.

매매 차익이 비과세되므로 세금 부담 없이 수익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만기 보유 전략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하면 이자소득세만 부담하며 매매 차익이 비과세되므로 세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채권형 펀드

채권 펀드는 개별 채권 투자와 다르게 매매 차익에 과세됩니다. 

그러나 스스로 하기 어렵거나 해외 채권 등의 정보를 얻기 어려운 체권에 대한 대비책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채권 ETF

채권 ETF는 매매시 자본 차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며 분배금은 이자 소득세로 처리됩니다.

소액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으로 분산투자 효과와 함께 낮은 수수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해외 채권 투자 시 세금

첫번재 환율 차익으로 해외 채권 투자시 직접 투자할 경우 환율 차익은 비과세입니다.

다만, 펀드로 한다면 배당 소득세 등으로 과세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원천 징수세도 고려해야 합니다. 해외에서 지급되는 이자에 대해 발행국에서 원천징수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국가간 이중 과세 방지 협정이 있다면 이를 활용하여 원천징수된 세금을 국내 세금에서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