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경제, 재태크/국가정책! 78

기후동행카드 기후 동행 카드 관련 기사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 기후 동행 카드 🧷서울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 버스, 공공 자전거 등 서울 지역 내의 모든 대중 교통 수단 무제한 이용 가능 > 경기, 인천 등 타지역 버스, 기본 요금이 상이한 광역 버스는 서울 지역 내라도 사용 불가 > 따릉이 1시간 사용권 무제한 이용 > 차세대 친환경 교통 수단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 🧷 이용 가능 지하철 : 지하철 1호선 ~ 9호선, 경중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 신림선 가능 > 신분당선 불가능 (이유 : 기본 요금이 달라서) 🧷 서울 내부 및 서울에서 경기 이동시 사용 가능 > 경기에서 서울 사용 불가능 🧷 월 6만 5천원에 이용 가능 > 실물 카드 /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 가능 > 실물 카드 사용시, 최소 3천원 카.. 2023. 9. 11.
월세 세액 공제/ 월세 소득 공제 월세 공제 연말 정산 시기인 매년 1월 15일부터 2월 28일 사이에 신청 월제 공제 신청 놓쳤다면 종합 소득세 신고 기간 또는 이후의 연말 정산때 경정청구를 통해 받을 수 있음 1. 월세 세액 공제 세액 공제를 신청하면 결정된 총 세금 금액에서 얼마 정도 비용이 줄어듭니다. 월세 세액 공제의 경우 1년 동안 지불한 월세에 대해 세금을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 신청 대상 총급여 70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원) 전용면적 85㎥ 이하, 4억원 이하 주택 * 신청 방법 세무서, 홈택스로 서류를 제출 * 제출할 서류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사본, 월세납입증명서 *주의 사항 임대차 계약서 주소와 주민등록주소가 같아야 함 전입신고도 완료해야 함 월세 납입 증명 서류를 신청자 본인 명의로 납부된 것이 증.. 2023. 9. 11.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1. 2024년 최저시급 시간당 9860원 월급 환산시 206만 740원 최저시급은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됨 2. 최저시급 인상된 이유 1. 물가상승에 맞쳐서 생활하기 위하여 최저 시급 인상 2. 여러 변수 및 경제 상황 변화에 따른 노동 시장의 안정과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3. 최저시급 인상을 반대하는 이유 1. 최저 시급 인상 시 판매 물품 단가와 판매 가격이 올라가서 도움이되지 않는다. 4. 최저시급 결정방법 최저시급 위원회가 매년 심의하고 결정 정부, 사용자, 근로자 대표로 구성됨 8월에 최저시급 확정되면 내년 1월부터 시행됨 5. 최저시급 경제적 영향 (긍정적) 하위 임금격차 축소/소득 대분배 효과 소비촉진/경제활성화 라고 주장함 6. 최저시급 경제적 영향 (부정적) 물가상승/ 민간소비.. 2023. 8. 8.
웹사이트 회원 탈퇴 방법 https://www.privacy.go.kr/front/contents/cntntsView.do?contsNo=192 개인정보 포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의 처리와 보호에 관한 사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합의제 중앙행정기관입니다. www.privacy.go.kr 위의 사이트로 접속하면 웹사이트 회원 탈퇴를 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를 한 후 2. 본인 인증을 해야 합니다. 3. 이후 조금만 기다리면 4. 회원 탈퇴 신청 가능한 웹사이트와 회원탈퇴 신청불가 사이트가 나옵니다. 회원탈퇴 신청 불가 사이트의 경우 금전적인 사이트가 많았습니다. 은행, 증권 사이트가 많았고 웹툰 사이트도 잇었습니다. 5. 탈퇴하고 싶은 사이트를 선택 후 다음을 누르면 요구서 작성을 합니.. 2023. 8. 1.
국민임대주택 신청과정/선정순위 + 입주대상 1. 국민임대주택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기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무주택 저소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30년 이상 장기간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2. 신청과정 1. 신청 : (현장 또는 인터넷) 2. 서류제출대상자 발표 :(인터넷접수자 한함) 3. 서류제출대상자 서류접수:(인터넷접수자 한함) 4. 소득/자산조사: 사회보장정보망 시스템 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됨 5.소득/자산 소명요청: (개별통보) 6. 소명접수 및 심사 7. 당첨자 발표 : LH 청약센터 홈페이지(apply.lh.or.kr) 확인 3. 입주대상 3-1. 소득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1인가구 90%, 2인가구 80%) 이하 >> 2022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3인기준.. 2023. 7. 19.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중소기업취업 및 창업 청년의 전·월세 임차보증금을 1.2%의 저리 지원 1. 신청기간 수시 * 2023년 12월 31일까지 신청가능 * 생애 중 1회만 이용가능 2. 신청자격 2-1. 대출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외벌이 3천5백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3.25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중소, 중견 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진흥공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자원 지원을 받고 있는자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 2-2. 대상주택 * 임차 전용면적 85m 이하 주택(85m 이하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 임차 보증금 2억원 이하 3. 대출 3-1. 대출 한도 * 1억원 한도 * 천세금액의 100% * 한국주택금융공사 HF 일반전.. 2023.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