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71 동일한 상표 있는지 찾아보는 방법 상호명과 다르게 상표도 동일한지 확인해봐야 합니다.키프리스에는 출원 신청 중인 상표, 등록 마친 상표,거절되거나 소멸된 상표 모두 검색할 수 있습니다.상표의 경우 유사한 상표나 동일한 상표를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추후에 분쟁이나 소비자의 오인을 피할 수 있습니다. 1. 키프리스 접속하기 http://www.kipris.or.kr/khome/main.jsp 2. 검색란에 상호를 다양한 조합으로 검색해보세요영어, 한글, 영문+한글 조합 등으로 다양하게 검색해서 유사 상표를 피하기 바랍니다. + 기획사에서 새로운 아이돌 런칭할때 그룹이름 등을 검색하는 사이트가 이 사이트입니다. 2025. 1. 7. 동일한 상호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상호명의 경우 한 관할에 같은 상호명이 있으면 안됩니다.그러기 대문에 인터넷 등기소를 통하여 동일한 상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등기소에는 다양한 접근 경로로 상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인터넷 등기소 인터넷 등기소에 접속합니다.http://www.iros.go.kr/PMainJ.jsp http://www.iros.go.kr/PMainJ.jsp www.iros.go.kr 1-1. 첫번째 방법은 법인 등기에서 열람/발급(출력)을 선택합니다. 1-2. 아래의 화면에서 등기소, 법인을 선택한 후 상호를 넣고 검색을 누릅니다. 법인의 경우 전체 법인을 하는 것이 좋으나등기소는 관할 등기소내에는 같은 상호명이 안되기 때문에 원하는 상호명이 있다면 등기소 부분을 꼭 체크 하기 바랍니다. 1-3. 검.. 2025. 1. 6. 스타벅스 카드 환불 방법 스타벅스 앱은 왜 캡쳐가 안될까요?제가 할 줄 몰라서 그런것 같긴 합니다.여튼 그림으로 첨부합니다 1. 스타벅스 앱에 접속합니다.2. pay 를 누릅니다. 3. 내 카드 관리를 선택합니다.내 카드 관리에서 보면 환불 요청이 있습니다. 그곳을 통하여 환불을 신청하면 됩니다.환불 신청하면 이후 환불이 생각보다 오래걸립니다. 2025. 1. 2. 미국 주식 세금-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 친구랑 주식이야기를 하게 되었습니다.친구는 미국 주식을 주로 하고 있는데 흥미진진했습니다.이게 공부를 하는 입장이다 보니까 친구의 자랑 보다는 배움의 현장처럼 느껴졌습니다.세금 이야기가 나왔고 공부를 하는 입장에서 세금에 대해 알지 못했기 때문에 자세히 들었습니다.생각보다 세금 금액이 커서 놀랐습니다.그래서 자세히 찾아봤습니다.미국 주식 세금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찾아봤습니다. 1. 양도소득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는 1년 동안 주식 매매를 통해 발생한 이익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연 250만원가지 공제가 됩니다.그 이상의 양도차익에 대해서 세금이 부과되며 250만원 초과되는 양도차익에 대하여 양도소득세 20%와 지방 소득세 2%를 합쳐 총 22%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 2025. 1. 1. 유튜브 1년 정산 유튜브를 시작했습니다. 1. 취미2. 쇼츠 1. 취미 유튜브1년에 25개 긴 영상을 업로드 했고 2개의 쇼츠 영상을 업로드 했습니다쇼츠가 확실히 조회수가 잘 나오며긴 영상에는 어필요소가 부족한건지, 주제를 잘못 설정한 것인지, 보는 사람이 매우 적습니다. ㅜ100명이 안돼..어쩔 수 없으나 주제 방향을 좀 바꿔보기는 해야 할것 같고 카드 해석도 방향이 잘못된 것 같은데면대면으로 하다가 이렇게 포괄적으로 해본 적이 없어서.. 좀 수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1달에 3개 영상이 올라가는데 1개 만들때마다 꽤나 많이 힘듭니다.영상미과 효과음같은건 신경쓰지 못합니다.오히려 내용에 집중해서 어느정도 맘에 드는 퀄리티나 주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쇼츠유튜브에서 쇼츠로 돈번다고 해서 시작한 .. 2024. 12. 31. 블로그 2024년 후기 블로그는 그냥 꾸준히 했다.처음엔 큰 돈 벌려고 했는데나중에는 지식 저장소가 되어버렸다이것도 여러가지 공부를 해야 하고 그를 통해서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나는 글만 쓰면 돈을 벌 줄 알았다. 언제인지 기억은 안나는데 몇월달부터 수익이 확 깎었다.얼마 없던 것인데 그 없던 것에서 더 깎이니 이거 참 개인적으로 날 챙기기도 힘든 2024년이었다.뭐든 하고 싶지 않았고뭐든 도망치고 싶었던 시기였기에블로그라도 생각날때마다 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내년에도 꾸준히 해서 내가 뭔가를 했다는 기쁨만 얻어도 좋을 것 같다. 2024. 12. 30. 이전 1 2 3 4 5 6 7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