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경제, 재태크/경제 기사 읽고 용어 정리27

일용소비재 일용소비재 일상생활에서 자주 소비되는 상품 FMCG 식품, 음료, 생활용품, 의류, 화장품이 이에 속한다. 유행이 빠르고 사용도가 높기 때문에 환경 오염이 높은 제품들이 많다. 예로 들면 음료 제품들은 플라스틱 사용(플라스틱 병, 비닐)등 사용량이 제일 높다 2024. 2. 26.
AGI 일반인공지능, AI 반도체 AGI 일반인공지능 기계가 인간과 유사한 레벨의 일반지능을 가지고 있는 상태 다양한 작업과 활동들을 유연하게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한다. AI의 상향 버전 느낌? AI 반도체 AI 인공지능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반도체 AI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으며 빠른 처리 속도와 저전력 소비를 제공한다. AI 사용이 증가할수록 AI 반도체 사용량도 증가할 것이다. 2024. 2. 21.
기축통화국 기축 통화 외환 시장에서 삼각 거래시 사용되는 퉁화 통화 사이의 교환 수단이 되는 통화이다. 외환 시장은 모든 개별 통화를 직접 거래하는 시장이 없으므로 기축 통화를 매개로 교차환율에 의하여 거래를 한다. 기축통화를 기준으로 결제하는 것이다. 현재 기축통화로는 미국 달러와 금이 해당된다. 기축통화국 기축통화를 보유한 국가를 말한다. 국가 신용 및 공급량, 사용도에 따라 거래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폐이다. 무역할때 많이 사용하는 화폐가 있다. 일본 엔, 유로, 파운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달러와 다르게 리스크가 있다고 여겨진다. https://m.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202221618001#c2b ‘기축통화국’이 뭐길래…어림없는 얘기-달라진 원화 .. 2024. 2. 21.
온디바이스 AI 신문 기사 읽다가 !!!! 도대체 이것이 무엇인가 했던 용어를 정리했다. 온디바이스 AI AI는 AI인데 온디바이스 AI는??? 1. AI 일반적으로 AI는 모바일 등 스마트 기기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분석한 후 다시 기기로 보내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2. 온디바이스 AI 온디바이스 AI는 일반적인 AI와 다르게 클라우드 서버에 보내지 않고 자체적인 기기 내에서 정보를 모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단말기 내부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로 보내는 AI와 다르게 보안문제도 해결되고,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온디바이스AI, 2024년 PC 판매 구세주될까…“큰 폭 성장 한다” - 매일경제 (mk.co.kr) 온디바이스AI, 2024년 PC 판매 구.. 2024. 1. 19.
240111 한국은행 금리 동결 한국은행 금통위 올해 첫 기준금리 결정은 ‘동결’ | KBS 뉴스 한국은행 금통위 올해 첫 기준금리 결정은 ‘동결’ [앵커] 한국은행이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3.5%로 동결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news.kbs.co.kr 연 3.5% 유지 이유 물가 상승률이 둔화 추세 지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 전망의 불확실성도 큼 긴축 기조 유지 필요가 있다. 금리 인하시 물가상승률 높아질 수 있고, 경기 부양 효과보단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 자극 부작용 * 긴축 기조 정책 방향이 돈을 조이는 방향 내가 이해하기론 돈을 줄이는 방향으로 느껴진다. 2024. 1. 11.
워크 아웃 제도 요즘 태영건설 기사를 많이 본다. 워크아웃 이란 말이 많이 보인다. 처음엔 이해가 됐는데 생각보다 명확한 정의를 몰라서 용어를 정리했다. 기업 구조 조정은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여 살릴 가치가 있다면 살리고 청산 가치가 있다면 청산하는 것으로 기업 구조 조정에는 채권단 자율 협악, 워크 아웃 법정 관리가 있다. 1. 채권단 자율 협약 채권단과 기업이 자율적으로 협약을 맺고 경영 정산화를 추진하는 방법이다. 채권단의 100% 동의가 필요합니다. 2. 워크 아웃 법률적으로 강제성을 부과한 경영 정산화 방법으로 채권액 75%만 동의하면 워크 아웃이 가능합니다. 3. 법정관리 법원에서 회생과 파산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마지막 방법입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0915.. 2024.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