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이사를 갔다면 꼭 필수로 신청해야 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를 받기 위해선 전입신고, 확정일자, 실제거주를 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1. 전입신고
이사간 곳에 신고하는 것으로 법정으로 이곳에 살고 있다고 알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택임대차보호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1-1. 동 주민센터로 신청하기 (오프라인)
이사간 곳에 동 주민센터에 신청하기
> 전입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신 거주지 동 주민 센터에 전입신고를 한다.
> 전입지의 세대로 또는 본인이 서명, 날인한 소정의 서식지를 전입지 등을 직접 제출한다.
필요한 서류
본인 신분증과 도장(서명으로 가능)
전입신고서(동주민센터에 있음)
1-2. 정부 24(온라인)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www.gov.kr
> 정부 24에서 전입신고 서비스를 선택하기
> 신청인 정보를 입력하고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한 후 / 이사 전에 살던 곳을 입력하기 / 이사온 곳 입력하기
필요한 서류
공인인증서
유의할 점
> 신청 이후 정부 24에서 나의 신청 내역을 확인하여 처리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반려, 취소 등의 여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담당자 확인 후 처리 되기 때문에
주말이나 공휴일이 있는 경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2. 확정일자
확정일자는 법원, 동사무소 등에서 주택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날짜를 확인로
이를 확인해주기 위해 임대차 계약서 여백에 날짜가 찍힌 도장을 받으며 이것을 확정일자입니다
확정 일자 역시 주택임대차보호의 보호를 받기 위 해 필요합니다.
2-1. 동 주민센터(오프라인)
임대차계약서를 가지고 가면 동사무소 직원이 날짜 도장을 찍어줍니다.
필요한 서류
계약서
신분증
비용 600원
2-2.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 등기소(온라인)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 등기소에서 확정일자 신청하기를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iros.go.kr/PMainJ.jsp
www.iros.go.kr
필요한 서류
임대차 계약서 스캔본
공인인증서
비용 500원
3. 총정리
> 동사무소에서 전입일자, 확정일자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도장(서명으로 가능), 600원을 챙겨주세요
> 정부 24에서 전입일자,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 등기소에서 확정일자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임대차계약서 스캔본, 500원이 필요합니다.
'생활 속 경제, 재태크 > 내 집 가지고 싶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관리시스템 : 아파트 관리비 사이트 (0) | 2024.04.29 |
---|---|
2024년에는 살던 빌라 매입해도 무주택자 (0) | 2024.01.10 |
(나를 위한) 전세계약 체크리스트 (0) | 2023.10.21 |
조정지역 해제시 달라지는 것들 (0) | 2023.07.05 |
소호 사무실과 공유오피스 차이 (0) | 2023.04.25 |